티스토리 뷰

반응형

 

작년 부동산트렌드 2023 책을 보고, 서울 대장 아파트 단지들의 가격 흐름을 보면서 '우와, 이렇게 정리 해 둔 책이 있다니'라고 생각하면서 굉장한 깨달음을 얻었었다. 

 

특히, 2023년 전망으로 당시 책에서는 약 30%의 하락을 예측했었고 2023년 1분기에는 낮은 거래량이 지속하며 대장 아파트 단지들이 정말 30%까지 빠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인사이트가 엄청난 책이라고 생각했고, 2024년 버전이 나오면 꼭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드디어 읽게 되었다. 부동산 트렌드 2024. 

 

2023년 책을 읽고 느꼈던 충격이 너무 컸기 때문에 2024년 책에서는 다시 한 번 대장 아파트 단지의 가격 흐름을 짚어주는 부분이 작년처럼 신선하게 느껴지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2024년 흐름을 김경민 교수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엿볼 수 있었다.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바로 

2024년은 대 혼란의 시대라는 것 

아파트가 올라갈 수 있는 요인은 거래량이 회복 하고 있다는 것. 하지만 이 부분은 현재 특례보금자리론이 종료되면서 다시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상황을 두고 보긴 해야할 것 같다. 

 

또한 10년물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 아파트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예측이었는데, 23년 10월 말을 고점으로 올해 1월까지는 지속 하락 추이를 보였다. 

 

출처: 네이버 검색

 

 

앞의 두 가지 요인은 작년 여름 원고 집필 시기를 생각하면 현재 상황이 조금 많이 달라졌지만, 상승 요인으로서 한 가지 또 언급한 공급량 부족의 이슈는 여전하다. 24년부터 26년까지 지속적으로 공급 물량은 평균 공급량 대비 미달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주목을 해야 한다.

 

반면, PF 문제는 하락 요인으로 꼽았는데 사실 PF 관련해서는 현재 시점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가장 경계해야하는 이슈가 아닐까 싶다. (pf 대출은 지속 연장하고 있지만 부동산 경기는 여전히 살아나지 못하고 있고, 건설사들은 높은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오히려 올해 더 문제가 될 수 있을것 같다.) 

 


 

책에서 언급 한 것 이외에도 2024년에는 신생아 특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등의 외부 환경으로 인해 현재의 침체된 부동산 시장이 바뀔 수도 있지만 24년 1월 현재까지는 급매물만 소진되는 상황으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기는 하다. 게다가 다가오는 총선이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 대혼란의 2024년이 되지 않을까 싶다. 

 

부동산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서울의 전반적인 대장아파트와 가격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책으로 추천 해주고슾 ㄴ책이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