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yoonjuliet입니다. 

 

오늘은 서울 부동산 공급 현황 및 향후 공급 물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꽤나 많겠지만, 그 중 공급 물량도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어 파악 해 두면 판단 하는데 좋은 백데이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부동산 공급 물량 보는 방법 

부동산 공급 물량은 아래 #부동산지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지인>수요/입주를 눌러주면 내가 보고 싶은 지역의 기간별 공급량, 면적별 분양가격, 수요 대비 입주 물량을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지인

빅데이터 기반의 아파트 정보 사이트를 만나보세요

aptgin.com

서울 평균 공급물량
2000년-2023년 약 45,000건/연

부동산지인에서 위와같이 들어가면 서울의 평균 공급물량을 볼 수 있습니다. 

2000년부터 올해 2023년까지 평균 공급량을 보면 44,635건으로 약 45,000건이 평균 공급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0년 초반에 많은 물량들이 몰려있는 것을 감안하여 최근 10년 평균 공급량으로 보면 42,503건이 평균 공급량입니다. 

 

빨간색 선이 수요량인데 이 수요를 항상 다 채우지는 못하는 공급량이기는 합니다. 

 

그렇다면 공급량이 줄어들면 가격이 상승하고, 공급량이 늘어나면 가격이 하락한다고 볼 수 있을까요?

 

그래프를 보며 데이터로만 본다면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부동산 하락기로 보는 2014년~2018년 정도는 공급이 평균 연 39,000건 정도로 평균보다 적기는 하지만 부동산 상승기, 부동산 불장이였던 2019년~2021년에는 평균 공급량이 51,000건 정도로 평균보다 더 많습니다.

 

그래도 주목할 점은, 2024년 이후로는 현재까지 공급되었던 공급량보다 턱없이 적은 공급물량이 있다는 점입니다. 2024년입주 물량은 18,112건인데 이만큼 적은 공급건수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공급량은 보통 2~3년 전에 결정되는걸 감안하면 당장 24년 물량이 늘어날 방도도 없고 확실히 공급 부족이 있을 것 같다는 것은 팩트로 볼 수 있겠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많은  상승하는힘, 하락하는 힘들의 요소에 의해서 결정이 되는데 어느 누구도 앞으로 이렇게 된다 라고 정확하게 말을 할 수는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객관적 자료를 가지고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계속 생각하게 되네요. 

 

저는 그럼 오늘 포스팅은 마치고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올게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