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yoonjuliet입니다. 

 

제가 즐겨보는 유튜브 '월급쟁이로 부자되기'에서 다양한 강의를 해 주시면서 느낌표(!)를 주시는 너나위님이 있는데, 그 분의 책이 있다는 점은 예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그 책을 읽어 보았습니다. 

 

본인이 어떻게 투자를 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이 쉽고 세세하게 나와있어 폭풍 독서를 하고, 그 방법에 따라서 저도 투자 할 만한 곳을 한번 물색 해 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너나위님의 책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라는 책에는 그런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 혹시 부동산 투자를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부동산을 공부해보고 싶은데 막막하신 분들께 추천 해 보고 싶은 책입니다. 


서론을 이쯤 마무리 하고, 책에서 나온 내용 중 하나! [부동산지인]이라는 어플을 활용하면, 지역별 매매가/전세가/전세가율 등을 알 수 있는데 현재 기준 서울의 지역별 평당 단가와 전세가율이 궁금해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서울 각 구별 인구/세대수/매매가/전세가/전세가율 정리 
기준일: 2024년 1월 1일 

* 맨 오른쪽의 전세가율 기준으로 내림차순

* 각 열별 Top10은 쉐이딩

 

서울의 인구는 938.6만명, 세대수는 446.9만명으로 세대당 2.1명이 있고 평당 매매가격은 3,741만원 / 전세가격은 1,919만원으로 전세가율은 51.3%입니다. 

 

전세가율이 높은 Top10을 살펴보면, 성북구/중랑구/금천구/강북구/은평구/동대문구/관악구/구로구/종로구/서대문구입니다.  매매가 평당 가격이 서대문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2,000만원대로 비교적 매매가가 저렴한 곳이 전세가율이 더 높습니다. 

 

또한, 전세가율이 높은 구들은 전세가가 높은 곳들 대비 세대당 인구수가 비교적 더 적고, 강남권과 먼 곳들으로 보여집니다.(반면 주요 업무지구인 광화문/여의도와 가깝고 강남지역권에 있는 곳들은 평당 매매가가 4,000만원 가까이 되거나 그 이상을 훌쩍 넘으며 전세가율이 확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 아래와 같은 기사를 접했는데, 사실 24/1/1기준 아실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아직 강남구가 전세가율 50%를 회복하지 못했죠. 아래 기사는 KB부동산 통계 및 시차 (아래 기사는 12월 기준)로 인해 차이가 발생 된 것으로 보아야하겠습니다. 

 

강남권 전세가율 50%까지 올랐다

서울에서 강북권 대비 상대적으로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이 낮은 강남권이 전세가율 50%선을 회복했다. 지난해 초에는 대규모 입주 물량에 일부 자치구 전세가율이 40% 붕괴가

n.news.naver.com

 

앞으로는 서울 뿐 아니라 경기도에도 시/구 별 전세가율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할게요. 그러면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까지 마쳐보도록 하겠습니다. 

 

굿나잇하세요 :)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